<혁신‧교육思考>
교육 및 비영리단체, 교육 프로그램, 사회혁신 프로젝트, 지역 및 마을 운동 등 다양한 해외 사례를 소개하고 새로운 관점을 전달하고자 합니다. 다른 교육을 고민하는 이들에게 유용한 팁 하나, 작은 실마리라도 되기를 바랍니다.(편집자주) |
며칠 전 뉴스를 통해 우리나라에서 폐지를 줍는 노인이 어림잡아 약 2백만 명이라는 소식을 접했다. 성인 남자 몸무게를 훌쩍 뛰어넘는 100kg의 폐지를 모아야 겨우 6천 원 정도를 받는다고 한다. 인생의 황혼기에 빈곤을 마주한 노인들은 여러 가지 심리적, 재정적 압박에 시달릴 수밖에 없다. 노인들을 위해 우리 지역사회에서는 어떤 준비와 대책이 필요할까?
노인 인구의 증가에 따른 사회적 문제들은 일찍이 영국 등 유럽 국가들에서 먼저 대두 돼, 이를 해결하려는 고민과 사회적 노력이 지속적으로 진행되어 왔다. 사회복지학에서는 노인층을 단순히 나이가 들어 능력이 떨어진 세대가 아니라 자식을 양육하는 제2의 인생이 끝난 이후의 삶을 마주한 ‘제3의 인생(The Third Age)’으로 정의했다. 국가는 복지정책 상 다양한 지원 사업을 운영하고 있으며, 민간단체들도 노인층을 위한 프로그램과 사회복지 서비스를 제공해 왔다. 필자는 해외의 시니어 관련 민간단체 중 아일랜드의 <제3의 인생 재단(The Third Age Foundation)>과 이 단체의 활동을 소개하고자 한다.(http://www.thirdageireland.ie/)
일방적 수혜 대상이 아니라 지역사회를 위해 활동하는 기여자
아일랜드 제3의 인생 재단은 1988년에 설립된 자발적인 시니어 단체로 현 아일랜드 대통령 마이클 히긴스가 후원자이기도 할 정도로 명성이 있다. 아일랜드에서도 노인 문제는 주요 사회문제 중 하나인데, 이 재단에 따르면 아일랜드의 65세 이상 노인 5명 중 1명 이상은 재정적, 물리적 지원이 필요한 상태에 놓여 있다고 한다.
▲제3의 인생 재단 홈페이지(http://www.thirdageireland.ie/)
제3의 인생 재단에 따르면 이 재단을 통해 매주 몇 천 명의 시니어들이 자발적인 모임을 갖고 자원봉사 활동과 평생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다. 2013년에는 1,200명의 자원봉사자들이 정기적으로 제3의 인생 재단에 참여했다고 한다.
이 재단이 추구하는 핵심 가치 중 하나는 시니어들이 지역사회를 중심으로, 자발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제공한다는 것이다. 즉 일방적으로 시니어들을 지원하는 방식이 아닌, 시니어들이 기여할 수 있는 지점을 마련하는 데 초점을 둔다. 또한 혁신적인 프로그램을 통해서 시니어들의 가치를 지역사회 내에서 재조명하고, 시니어들이 지역사회의 요구에 부응할 수 있도록 돕고 있다. 시니어를 지원 대상이 아닌, 기여자로 보고 있다는 점이 기존의 다른 재단들과 차별되는 점이다.
시니어 + 이민자 = 혁신적 언어 교육 프로그램
전국적인 프로그램 중 가장 대표적인 것은 “Fáilte Isteach(아일랜드어로 “환영”한다는 뜻)”이다. 2000년부터 시작된 이 프로그램은 시니어들이 아일랜드에 정착한 이민자들에게 영어(아일랜드 공식언어)를 가르치는 프로그램이다. 이민자들은 연령 불문하고 무료로 배울 수 있는데 영어를 배움으로서 아일랜드 사회에 보다 수월하게 적응할 수 있고, 시니어들은 자신의 시간과 재능을 기부할 수 있으니 윈-윈 하는 프로그램이다.
2013년 기준, 60번째 지점을 열었고 590명의 자원봉사자들이 프로그램에 참여하며, 1,800명의 이민자 학생들이 매주 참석하고 있다고 한다. 이 프로그램은 2013년 유럽 의회로부터 언어 교육 분야에 있어 창의적인 프로젝트에 수여하는 상을 받을 정도로 성공적으로 운영 중이다. 현재 21개 카운티, 60개 이상의 지점이 운영되고 있는 이 프로그램은 사회적 기업가들을 지원하는 아쇼카 재단(Ashoka Foundation)으로부터 지원을 받기도 했다.
▲시니어들은 이민자들에게 영어를 가르치고, 이민자들은 무료로 영어를 학습할 수 있는
Fáilte Isteach 프로그램(출처: 제3의 인생 재단 홈페이지)
시니어 + 시니어 = 촘촘한 시니어 자원봉사 지원 체계
제3의 인생 재단에서는 ‘시니어 헬프 라인(Senior Help Line)’을 통해 전화로 시니어들의 고충을 상담해주는 서비스도 제공한다. 2013년 1년 동안에만 총 3만 통의 전화를 시니어 자원봉사자들이 응대했다. 전화를 거는 시니어들은 가족으로부터 떨어진 고독감과 외로움, 재정적 어려움과 걱정, 건강 염려, 정보 문의, 배우자 사별, 노인 학대, 자살 충동 등 다양한 개인적 고충에 대해 털어놓는다.
이 서비스는 오전 10시부터 오후 10시까지 운영되는데, 50대 이상 시니어들을 자원봉사자로 뽑아 5일 동안 전화 상담 교육 및 훈련을 시킨다. 시니어 자원봉사자들에 대한 훈련과 지원 체계를 마련하는데 심혈을 기울이고 있는 것이 인상적인 지점인데, 각 지역 센터를 방문해 센터에서 활동하는 시니어 자원봉사자들을 교육하는 활동도 ‘별도로 교육받고 훈련된 시니어 자원봉사자들’이 진행한다. 즉, 자원봉사자 관리 역시 자원봉사자를 통해 진행하는 시스템이 마련돼 있다.
▲시니어 헬프 라인. 교육받은 시니어 자원봉사자들이 전화 상담을 한다.
(출처: https://www.youtube.com/watch?t=10&v=VRdUL1H5i9M)
제3의 인생 재단의 권익 옹호(Advocacy) 프로그램인 ‘세이지(Sage)’도 전국 단위 프로그램 중 하나다. 양로원에서 장기적으로 머무르는 시니어들에게 멘토링을 해 주고 돌봄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2013년 기준으로 121명의 활발한 자원봉사자들이 있다. 지역사회 속으로 더 밀접하게 들어가기 위해 양로원 이외에 병원 등에도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으로 확대할 예정이다.
시니어 + 다른 세대 = 지역사회 중심의 사회 통합
제3의 인생 재단이 하는 일의 또 다른 특징은 “지역성”이다. 이 재단은 아일랜드 수도 더블린에서 멀지 않은 써머힐(Summer hill)에 위치해 있는데 전국적 프로그램 이외에도 이곳 지역사회를 중심으로 매주 컴퓨터 강좌, 아로마 테라피, 영양관리 프로그램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다.
특히 세대간 교류(Intergenerational) 프로그램을 주목해볼 만하다. 지역의 초등학교와 연계해 시니어들과 학생들과의 만남을 진행한다. 가령 “백 투 스쿨(Back to School)” 프로그램의 경우 시니어들이 초등학교를 방문해 시니어들의 학창 시절을 학생들과 함께 나누고 이야기 한다.
“돌아보기(Reflections)”로 불리는 프로그램 중 하나인 ‘뜨개질 클럽(Knitting Club)’도 흥미롭다. 이 클럽은 이제 초등학교에서 더 이상 뜨개질을 가르치지 않는다는 데 주목, 시니어들이 학생들에게 뜨개질을 가르치는 것으로 시작됐다. 하지만 단순히 뜨개질을 가르치고 배우는데 그치지 않는다. 학생들이 뜨개질을 배워 만드는 인형은 밝은 색깔의 테디 베어인데, 이 인형들은 “트라우마 테디(Trauma Teddies)”로 불리며 트라우마 치료에 쓰인다. 아일랜드 전역에서 아이들이 구급차로 병원에 이송될 때 이 테디 베어가 전달되며, 지금까지 약 1,200여개가 만들어져 배포됐다. 이 클럽에는 매주 5명의 시니어와 40명의 어린이들이 참여하고 있다고 한다.
▲뜨개질클럽(출처: 제3의 인생 재단 홈페이지)
제3의 인생 재단 참여에는 나이 제한이 없다. 누구나 멤버가 될 수 있으며, 멤버십 비용은 일 년에 25유로(한화 약 3만원)에 불과하다. 자원봉사가 주된 활동임에도 불구하고 최소한의 멤버십 비용을 두어 참여하는 자원봉사자들이 멤버십을 갖고 활동할 수 있도록 했는데, 이는 시니어를 활동의 객체가 아닌 주체로 바라보고 있다는 것을 잘 드러낸다.
한국에서도 제3의 인생 재단처럼 시니어를 지역사회의 주체이자 기여자로 바라보는 기관이 많아지기를 기대한다. 이런 기본적인 철학과 더불어 시니어들이 지역사회에서 다양하게 활동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다양한 프로그램이 나올 수 있기를 희망한다. 시니어들에게 필요한 사회참여 활동을 마련해주고 시니어들간의, 시니어와 다른 세대간의 교류를 늘릴 수 있는 프로그램들이 많아져야 힘겨운 수레 밀기도 끝나지 않을까.
글_황명화(세이브더칠드런 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