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혁신‧교육思考>
교육 및 비영리단체, 교육 프로그램, 사회혁신 프로젝트, 지역 및 마을 운동 등 다양한 해외 사례를 소개하고 새로운 관점을 전달하고자 합니다. 다른 교육을 고민하는 이들에게 유용한 팁 하나, 작은 실마리라도 되기를 바랍니다.(편집자주) |
<패밀리 바이 패밀리>
그들이 시작하고 싶은 곳에서부터 시작한다
시민들의 자발적인 움직임은 세계 여러 곳에서 그 모습을 보이고 있다. 공공서비스 영역에서 또한, 사회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시민들이 함께 디자인(co-design)하고 함께 생산(co-produce)하는 “협력적 서비스” 움직임이 일어나고 있다. 먹거리 공동구매, 카쉐어링 등의 자조적 공유경제 활동은 성공적인 공유기업으로 발전하기도 한다. 이와 같은 시민들과의 협력 메커니즘이 공공서비스를 재구성할 수 있는 원동력이 될 수 있을까? 협력적 공공서비스가 기존의 공공서비스보다 혁신적인 이유는 무엇일까?
이번 글에서는 호주의 공공서비스 혁신 사례인 “패밀리 바이 패밀리”를 소개하고자 한다. <패밀리 바이 패밀리>는 호주사회혁신센터(The Australian Centre for Social Innovation)가 시민들과 함께 디자인(co-design)하고 개발한 공공서비스 모델으로, 전에 어려운 환경에 처했었던 멘토 가족들(sharing families)을, 현재 어려움을 겪고 있지만 변화를 원하는 가족들(seeking families)과 연결하는 프로그램이다. 사회복지사, 가족상담사 등과 같은 전문가들은 평가, 진단 및 지시를 하기보다 짝이 된 두 가족들이 해결책을 함께 만들어 갈 수 있도록 동기를 부여하는 간접적인 역할을 한다.
(출처: 호주사회혁신센터, http://tacsi.org.au/)
보통 두 가족들이 짝을 이루는 과정은 스피드 데이팅처럼 이루어진다. 어려움을 겪고 있는 가족은 주로 아동보호국의 추천을 받아 패밀리 바이 패밀리와 연결이 된다. 여러 가지 문제로 인하여 가족환경이 아동에게 적합하지 않아 양육권을 아동보호국에게 뺏길 위험에 처한 가족들이 패밀리 바이 패밀리에 연락을 취하게 되면, 가족 코치가 현장에 나가 어려움을 겪고 있는 가족과 만나 패밀리 바이 패밀리 프로그램을 소개하고, 여러 멘토 가족들의 프로파일을 보여준다.
여기서 패밀리 바이 패밀리 프로그램의 혁신적 요소를 엿볼 수 있다.
첫째, 공공서비스 수혜자들 즉, 변화를 원하는 가족들(seeking families)에게 선택권을 준다는 것이다. 멘토 가족들(sharing families)에 대한 사진과 프로파일 정보를 제공하여 변화를 원하는 가족들이 멘토 가족을 선택할 수 있는 권한을 준다. 또한 가족이 변화하고 싶은 부분을 스스로 정하도록 한다. 기존의 사회복지 프로그램은 수혜자의 입장에서 복지서비스가 디자인되기보다 서비스 제공자의 입장에서 설계되고 시행되는 경우가 허다하다. 시민 참여를 통해 이끌어 낸 해결책이라고 하더라도 초기 일정기간 동안 부분적으로 수혜자들의 의견을 수렴하고 고려한 프로그램은 많아도, 처음부터 끝까지 수혜자가 경험하는 과정의 세세한 부분까지 그들의 입장을 생각하는 프로그램은 드물다.
둘째, 부모들의 자녀 양육방식 문제에 초점을 두기 보다, 가족관계 전체를 고려한다는 점이다. 모든 가족 구성원들을 능동적인 참여자로 보기 때문에 아이들을 대하는 방식도 다르다. 아이들도 멘토 가족 선택과정에 참여할 수 있도록 패밀리 바이 패밀리를 설명하는 동화책을 읽도록 하거나, 책을 함께 읽어 주며 이를 통하여 아이들의 적극적인 발언권을 이끌어 낸다.
▲패밀리 바이 패밀리를 설명하는 어린이를 위한 동화책
『The huffs and the budges』(출처: 호주사회혁신센터)
변화를 원하는 가족(seeking families)이 멘토 가족을 선택하게 되면, 두 가족은 짝을 이루어 10~30주 동안 일주일에 한 번씩 만난다. 이 만남을 “link-up”이라고 부르며 가족들은 캠핑을 떠나기도 하고, 운동을 함께하거나, 커피를 마시며 대화를 나누기도 하며, 자원봉사 등 가족이 함께할 수 있는 커뮤니티 이벤트에 참여하기도 한다.
(출처: 호주사회혁신센터)
링크-업은 가족 간 친밀한 관계를 만들기도 하지만, 관계를 넘어서서 가족들의 행동변화에 초점을 두고 있다. 가족들의 행동 변화는 세 단계를 거치게 된다. 예를 들어 어려움을 겪고 있는 가족이 변화하고 싶은 자신들의 목표를 “가정 안에서 언어폭력 줄이기”라고 정했다고 하자.
첫 번째 단계는 변화를 원하는 가족과 멘토 가족 간 신뢰를 쌓는 과정이다. 두 가족 간 신뢰를 바탕으로, 변화를 원하는 가족이 멘토 가족에게 자신의 어려움을 털어놓고, 멘토 가족은 자신의 경험을 공유하는 장을 마련한다.
두 번째 단계는 “함께하는 단계(doing with)”이다. 가정 안에서 언어폭력이 문제가 되는 경우, 언어폭력을 삼가라고 조언만 하기보다, 멘토 가족은 언어폭력을 사용하지 않는 여러가지 방법들을 보여주고 새로운 행동을 직접 경험해 볼 수 있도록 한다. 멘토 가족은 변화를 원하는 가족이 이 새로운 행동을 정착할 수 있을 때까지 옆에서 본보기를 보여준다.
세 번째 단계는 “혼자 해내는 단계(doing without)”이다. 멘토 가족이 더 이상 옆에서 도움을 주지 않더라도 그 동안 배운 것을 유지하도록 하는 단계이다. 변화를 원하는 가족이 자신감을 쌓아 도서관, 클럽, 아동센터, 자원봉사 등 커뮤니티 안에서 일어나는 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용기를 북돋아 준다.
이 세 단계는 가족들이 자신들의 행동을 변화하는 과정이며, 평균적으로 78~80%의 가족들이 자신들이 설정한 목표를 달성한다고 한다. 그리고 정부는 이 프로젝트에 투입되는 1달러의 투자금액으로, 복지예산 7달러를 절약할 수 있다.
▲패밀리 바이 패밀리 비디오 바로보기 (출처: 호주사회혁신센터)
패밀리 바이 패밀리의 성공은 처음부터 끝까지 복지수혜자의 자발성을 강조하여, 그들이 능동적인 참여자가 될 수 있도록 서비스를 디자인하고 실행하는데 있다. 일방적 복지전달이 아닌 협력적 복지서비스로 관점을 변화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가족의 문제를 가족이 스스로 정하게 한다는 것은 이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진행하는 모든 구성원들의 마인드셋 변화가 필요한 일이기 때문이다.
패밀리 바이 패밀리를 운영하는 호주사회혁신센터 (TACSI)의 대표 캐롤린 커티스(Carolyn Curtis)는 종종 어려움을 겪고 있는 가족들과 만나곤 하는데, 헤로인 중독문제를 가진 한 엄마가 자신의 목표를 “직장 찾기”로 설정하겠다고 했을 때, “직장이 문제가 아니라 마약부터 끊어야 할 텐데…”라는 생각을 했지만 이를 그 엄마에게 강요하지 않았다고 한다. 사회복지사로서 수년의 경험이 있는 캐롤린 대표는 패밀리 바이 패밀리를 통하여 그 엄마의 상황을 진단하지 않도록 조심하고, 자신의 생각부터 변화하는 것이 필요하였다고 한다. 캐롤린은 “이 프로그램의 핵심은 그들이 시작하고 싶은 곳에서 시작하는데 있다”고 강조한다. 그 해결책은 전문가가 일방적으로 문제를 판단하고 도출해 내는 것이 아니라, 신뢰를 바탕으로 가족이 스스로의 문제를 깨닫게 하는 과정 속에 있다. 그 과정 자체를 믿고, 어려운 상황에 처한 가족과 그 과정을 동행하는 것이다.
또 하나, 패밀리 바이 패밀리의 비결은 그 행동변화 과정을 아주 세밀하게 들여다보고, 분석하고, 이해하는데 있다. 이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스텝과 코치들은 두 가족 간의 만남을 주선하고 그들이 몇 번 만났는지 횟수만 세며 그들이 친해지면서 자연스럽게 해결책이 생기겠지 라고 결과를 가정해버리지 않는다. 행동변화 방법론과 활동들 및 자료들을 가족들과 함께 만들어 보고, 가족들과 함께 다양한 활동을 테스트해 보며 이미 가지고 있었던 가설들을 확인해 본다.
많은 사회혁신 프로젝트는 다른 지역으로 확산되거나 더 많은 수혜자들을 위한 모델로 확장되지 못한 채, 한 지역의 혁신적인 시범사업으로 끝나버리는 경우가 많다. 패밀리 바이 패밀리는 올해부터 호주 전국으로 확산될 예정이다. 호주사회혁신센터 팀을 확장하기보다 이미 규모를 지닌 <유니팅 커뮤니티스(Uniting Communities, http://www.unitingcommunities.org/)>와 <베네볼렌트 소사이어티(Benevolent Society, http://www.benevolent.org.au/)>라는 두개의 비영리 기관들과 파트너십을 맺어 패밀리 바이 패밀리 모델을 확산할 예정이다.
패밀리 바이 패밀리 모델의 철학과 의도가 희석되지 않고 진실성과 섬세함을 유지하며, 파트너 기관들과 협력관계를 만들어 가는 과정은 어떤 모습으로 펼쳐질지 기대해 본다.
<참고자료>
◦ 「Family by family explained for professionals」 http://familybyfamily.org.au/wp-content/uploads/2012/09/FbyF_for_Professionals_sv001.pdf
글_임소정(영국 스프레드아이 사회혁신연구소, sojung@spreadi.org)